Chapter1. 디자인 기초
1-1) Design Histroy1, 2
- 기본적인 욕구 충족 후 안정화가 되면 꾸밈 요소에 가치를 두게됨
- 도구는 1차적인 기본 목적이 충족되자 장식적인 면에 치중함. 혁신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지자 화려한 공예품을 만들기 시작함. 부와 권위를 과시하기 위해 사용됨
- 산업혁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짐: 장식적인 면보다는 부를 축적하는데에 집중
많은 인력, 자유로운 이동 가능
- 산업혁명 이전: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시기이다보니, 장인들이 물건을 만드는 즉시적인 행동패턴 (선 수요 - 후 공급)
- 산업혁명 이후: 동일하게 규격화하여 제품을 대량생산하기에 프로세스를 가진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행동패턴, 소비자의 이목을 끌 디자인이 필요해짐
- 현대에는 단순히 기술적인 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개인의 스타일, 가치를 두고 이 추구하는 가치에 맞는 상품을 소비하게 됨
디자이너가 외형만을 디자인하는 시대가 아님
- 디자이너의 역할: 제품의 심미성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경험까지 디자인함. 디자인 사고와 소비자 통찰을 겸하면서 사용자에게 실용적이고 가치있는 경험을 제공하려 노력함. 사용자에게 쓸모있는 가치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람을 이해하고 사회문화측면, 기술, 트렌드를 적절히 활용하여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는 디자이너의 작업방식과 감수성이 필요함
1-3) Design Empathy
- UX Designer
사용자 경험을 설계해서 시각화된 화면설계를 전달해줌
- UI Designer
UX 디자이너가 그려준 설계를 토대로 디자인을 함
- Publishers
완성된 디자인을 프론트엔드 코더들에게 전달함
- Motion Designer
디자인한 산출물에 생동감을 입혀줌. 그래픽 이미지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전달함
-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을 가지고 해야함
기준점들을 잡아야 논리를 가지고 주장을 탄탄하게 가질 수 있고, 디자인의 일관성을 부여함
- 협업하기 위해
-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 일관성을 가진 사례들
- 애플의 스노우화이트
- 마이크로소프트의 메트로, 모던 UI
- Skeuomorphism
최초의 스마트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기기를 친근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의 요소들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함
- Flat Design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에 익숙해지자 빠르게 원하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원하게 됨
- Human Interface Guidlines
빠르게 변화하는 디자인 트렌드를 알 수 있음
1-4) Design Process1, 2
- Double diamond
확산
- 문제 발견: 고객경험 리서치로 문제 설정, 사용자 경험 조사 및 분석 -> 사용자 경험을 높히기 위해서 기획과 디자인을 함
사용자와 시장을 분석함
수렴
- 아이디어 수립 및 수렴: 자료분석 및 디자인 방향을 설정, 디자인을 제안하는 단계 -> 퍼소나 설정, 고객여정지도, 핵심욕구, 컨셉도출함,, 문재해결 아이디어를 도출함
확산
- 해결책 구체화: 정보구조도 작성함 -> 프로토타입, 모델 제작함
수렵
- 적용: 모델을 평가함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 Google Design Sprint
1.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는 누구에게서나 나올 수 있다
2. 고객의 반응이 중요하다
5일동안 하는 과정임
- Why How What
1. Why
내가 왜 이 디자인을 해야하는가?
프로젝트 목표를 발견해야함 -> 시각적인 디자인 요소로 구성해야함
2. How
-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 설정, 방향에 맞게 시각화
각 테스크를 실행하고 해당 테스크를 검증, 공감해나감
공감할 수 없는 결과를 얻었을 때에는 해당 과정을 재실행, 재검증, 재공감하는 테스크를 반복한다
디자이너의 직관, 경험, 데이터, UT 방법론 등을 테스크에 맞게 적용하면서 프로젝트의 방향을 맞춰나간다.
3. What
- 산출물 제출하고 프로젝트 마무리
1-6) Visual Define
- GUI : 디자인을 위한 리소스, 영감자료 수집단계 / 협업 및 공유를 위해 문서화 지향
- 정의의 개념적인 측면의 크리에이션: 브랜드, 가치, 철학 등 궁극적인 가치들을 기준으로 포커싱한 크리에이션
- 정의의 형태적인 측면의 크리에이션: 어떤 형태의 의미나 가치를 부여하여 형태를 시각화하는 것
- 크리에션의 과정: 본인이 생각하는 가치나 의미 기준으로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여러 사람들이 모여서 협의하고 공감하는 과정속에서 최종적으로 시안을 만들게 됨
'제로베이스 UXUI 디자인 28기 > UI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주차-Day2] Chapter1. 그래픽 작업에서 알아야 할 기본 개념 익히기 (0) | 2024.08.20 |
---|---|
[5주차 - Day5] UI 디자인 기초 Chapter 2. 인터페이스 디자인기초 (0) | 2024.08.02 |
[1주차 - Day4] 9. 공유와 협업 (0) | 2024.07.04 |
[1주차 - Day4] 8. 디자인 시스템 (0) | 2024.07.04 |
[1주차 - Day3] 7. 프로토타입 (0)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