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Study Blog

제로베이스 UXUI 디자인 28기/UX 강의 15

[6주차 - Day3] 포트폴리오 제작 팁

3-1) 포트폴리오에 담을 콘텐츠 선택하기 1. 컨텐츠 내가 어떤 문제점을 발견하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일련의 문제해결 과정 스토리가 포트폴리오에 보여야함 즉 자신의 생각이 담긴 스토리텔링이 필요함결과물 위주의 포트폴리오보다는 문제해결 중심의 내용으로 잘 정리되어 있어야함UX 디자이너이기 때문에 잘 짜여진 구성요소가 중요함 과정을 단순 나열식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이나 인사이트가 담겨야함문제를 발굴했을 때 어떤 방법론을 사용했는지, 왜 이 방법론을 채택했는지, 어떤 인사이트를 도출해 어떻게 기능으로 풀어냈는지, 타 서비스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 지를 작성How와 Why를 고려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함 3-4개의 프로젝트가 적당함 3-2) 목차 및 내용 구성하기2. 컨테이너 기본적인 목차: 자기 소개, 경험, ..

[6주차 - Day3] 포털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

2-1) IT회사에서의 UX 디자이너의 업무와 역할 - UX디자인의 역할 서비스 상위 기획사용자 리서치개발자들이 볼 수 있는 시나리오 문서 작성중간 중간 필요한 단계에 투입이 되어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도 있음정해진 업무가 있다기 보다는 신규 프로젝트, 운영 업데이트 프로젝트인지에 따라, 기간에 따라 달라짐 2-2) 포털에서의 Working Process의 변화 기존의 포털에서는 UX프로세스를 단계별로 하나씩 진행했음사용자 분석을 통해 디자인, 개발, 검증하는 워터풀 모델 방식을 사용함  수정할 문제점을 빠르게 찾고 개선할 수 있음 이러한 주기를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기에 느려서실행중심의 프로세스로 진화함. 스타트업에서 많이 사용함서비스가 보다 가벼워지다보니 프로세스 역시 작은 그룹들이 기민하게 모여 협업..

[6주차 - Day3] IT 회사에서 UX 디자이너가 하는 일

Chapter 1. IT 회사에서 UX 디자이너는 무슨 일을 하나요?1-1) 협업에서 UX디자인이란? (1)현업에서 UX 디자인 프로세스이해 - 공감 - 아이디어 도출 - 프로토타입 - 테스트 - 출시와 피드백 수집 1. 이해단계사용자의 페인포인트를 발굴하고 비지니스 목표를 만들어가는 단계아무리 화려하고 좋은 기술이어도 사용자의 니즈에 맞닿아있지 않은 서비스라면 필요 없음사용자 니즈에만 맞춰도 비지니스 목적에 맞지 않는 서비스라면 공급자의 입장에서 좋은 서비스는 아님다양한 방법으로 리서치 진행함 현업에서 초기 사용자를 이해하고 비지니스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론 예시- UX Questionnaire    - Lean Canvas 가장 중요한 것은 가치 - 고객들게 어떻게 가치를 제안할 것인지  이런 방법론을..

[3주차 - Day4] UX2-4. 사용성 테스트

9. 사용성 테스트 알아보기사용성 테스트: 사용자에게 특정 과업을 수행하도록 과제를 부여한 뒤 그 일을 진행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방법의도한 서비스 시나리오대로 유저가 행동하는지 아닌지 알 수 있음필수적인 컨트롤 요소를 인지/이해/예측/실행 하는지 알 수 있음  사용성 평가 =! 유저 테스트 사용자가 이런기능을 통해서 다음 단계를 진행할수 있는가? 없다면 문제점은 무엇인가?고객이 우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조와 기능을 의도한 대로 알고 있는지, 이해했는지?   회사에서의 리서치 진행 프로세스   사용성 테스트의 일반적 과정1. 참여자를 모집2. 서비스를 사용해보도록 함3. 진행자는 참여자가 길을 잃지 않도록 안내함4. 참관자들은 고객의 행동을 관찰함5. UT가 끝나면 도출된 이슈에 대해 브리핑6. 문제점 ..

[3주차 - Day4] UX2-3. 퍼소나와 퍼소나 실습

7. 퍼소나 알아보기퍼소나: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군을 대표하기 위해 가상으로 만든 인물- 앨런 쿠퍼의 저서 '정신병원을 뛰쳐나온 디자인'에서 소개된 방법론- 서비스 기획,제품 개발, 디자인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자 연구 및 마케팅 전략을 위해 주로 활용  문제기술 3요소1. 서비스의 현재 목표2. 서비스에 대해 사업의 이해관계자가 다루고자 하는 문제3. 서비스의 구체적인 솔루션이 아닌 개선을 위한 명확한 요구사항  사용자 가정1. 사용자는 누구인가?2. 그들의 일이나 삶에 있어서 우리 제품이 적합한 곳은 어디인가?3. 우리 제품이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4. 언제 그리고 어떻게 우리 제품이 활용되는가?5. 어떤 기능이 중요한가?6. 우리 제품은 어떻게 보이고 활용되어야 하는가?  프로토 퍼..

[3주차 - Day4] UX2-2.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론과 리서치 방법론

5.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론과 리서치 1. 맥락적 사용자 리서치 -> 관찰, 공감, 해석 : 사용자가 실제 상황에서 이 상품을 이용할 때 어떻게 사용하지는 관찰, 해석2. 반복적 디자인 -> 개발, 측정, 학습 :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테스트, 개선점 찾기 단계   1. 발견단계- 사용자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탐색하고 발견하는 단계- 에스노그라피(넓은 의미의 사회적문제를 다룸), 데스크 리서치(논문이나 리포트 찾아보기), 필드 리서치(현장에 가서 사용자 관찰), 맥락 인터뷰, 내부 이해관계자 인터뷰,설문 등   2. 정의 단계 - 발견한 문제 중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우선 순위 결정- 발견 단계의 리서치 결과를 분석해 퍼소나, 고객 여정지도 등 제작하기  3. 개발 단계- 발견/정의 단계는 ..

[3주차 - Day4] UX2-1. UX researcher와 사용자 이해

1. UX & UX ResearcherUX (= User eXperience) : 사용자 경험-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 경험- 사람의 행동 전반에 걸쳐 모든 경험을 고려해야함 ex) 컨텐츠: 음식의 재료UI: 그 재료로 만든 음식UX: 식당에 들어와서 음식을 주문하고 먹는 모든 경험 UX Research :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고객의 진짜 문제를 찾아내는 것 Usability : 사용성- 사용성: 사용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사용사의 편의성- 평균적인 능력과 경험을 지닌 사람이 어떠한 도구를 통해 무엇을 수행하고자 할 때, 그 어떤 고민이나 망설임 없이 스스로 사용법을 알 수 있어야 함 UX 리서처의 목표: 고객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