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Study Blog

제로베이스 UXUI 디자인 28기/UX 강의

[2주차 - Day2] 2. 사용자 조사

0dam 2024. 7. 9. 19:47

Chapter2. 사용자 조사

1. 사용자 조사 방법

 

2-1-1) 사용자 조사의 정의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조사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드러나는 사용 형태와 비언어적인 요구사항을 도출해내는 조사

- 언어적 정보

- 비언어적 정보 (행동):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표현하진 않지만 행동으로 추측해낼 수 있는 정보

 

 

2-1-2) 사용자 조사 방법의 종류

- Town watching: 사용자가 생활하는 그 자체. 순수한 정보를 관찰하는 것

- Contextual inquiry: 사용자가 관찰해야하는 것을 직접 하는 것을 보고 확인해야하는 것, 질문을 물어보는 것

- Photo diary: 우리에게 필요없는 데이터까지 들어옴. 유의미한 데이터를 찾지 못할 수도 있음

 

- Usability Test: 사용성 평가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우리의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테스크를 준 다음 그 과정을 관찰하는 것 ex. 클릭시간, 고민시간, 실수 횟수, 클릭 횟수 등

- Card sorting: 미리 준비해둔 자료를 분류해보라고 하는 것

- A/B Test: 두세개의 디자인 시안을 두고 제시한 범위 안에서 어떤 것이 좋은지 선택함 

 

 

 

2-1-3) Contextual Inquiry

- 사용자가 있는 곳에서

- 사용자를 연구

- 모르면 조사할 수 없음. 알지만 모르는 척 해야함

- 실행 프로세스

-유의사항

 

 


 

2. 사용자 조사준비

2-2-1) 사용자 조사 설계 프로세스

원격 사용자 조사 설계 프로세스

비언어적인 데이터는 얻기 어려운 제약이 있음

시공간적인 제약은 없음

 

 

- 사용자조사는 프로젝트 초반에 하지만 늘 초반에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간중간 의문점이 생길 때마다 할 수 있음

 

- 사용자 조사의 큰 틀 정하기

1. 조사의 배경 및 목적

2.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내용

3. 일정

4. 적용할 조사 방법

5. 대상 및 구성

6. 비용(리크루팅, 사례비 등)

 

- 조사계획서: 왜, 무엇을, 어떻게, 얼마나, 누구랑

- 사용자 모집하기: 인하우스 (내부적으로 직접 구하는 것), 에이전시에 의뢰 (사용자가 드문 특정 sw는 사용자를 모으기 어려울 수 있음)

 

 

 

2-2-2) 파일럿 테스트

- 드레스 리허설

- 시간 확인

-변수 확인

- 기술적 점검

 

 

 


 

3. 사용자 조사결과 분석 및 모델링 

2-3-1) 사용자 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 대상 도메인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

- 사용자의 내제된 요구사항과 존재하는 불만 요인 파악

- 시퀀스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 변화 파악

- 사용자의 심성 모델 파악

- 전반적인 사용 경험 및 학습 수준에 대한 파악

- 사용 동기와 작업 과정 파악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 사용자 형태와 니즈에 대한 명확한 이해 : 사용자에 대한 공감

- 시장의 수준과 서비스의 진입장벽

- 디자인 컨셉, 가설 평가

- Shed light on users: 모르는지 몰랐던 부분에 대한 이해

 

UX 디자인을 하기 위해 필요한 실제적인 정보를 얻는 과정이므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2-3-2) 분석 및 모델링

1. Raw 데이터 정형화

raw 데이터란 단어 의미 그대로 조사 진행 당시 수집된 날 것의 형태인 데이터를 말함

- 오디오 녹음 파일, 비디오 파일, 노트 테이커와 관찰자의 노트, 설문조사 결과, 정량적 측정 데이터

 

2. 정보 구조화 하기

얻은 데이터를 그룹핑하고 리뷰를 통해서 재 그룹핑함

 

3. 분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