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Study Blog

제로베이스 UXUI 디자인 28기/UX 강의

[6주차 - Day3] 포털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

0dam 2024. 8. 7. 13:29

2-1) IT회사에서의 UX 디자이너의 업무와 역할

 

- UX디자인의 역할

 

  • 서비스 상위 기획
  • 사용자 리서치
  • 개발자들이 볼 수 있는 시나리오 문서 작성

중간 중간 필요한 단계에 투입이 되어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도 있음

정해진 업무가 있다기 보다는 신규 프로젝트, 운영 업데이트 프로젝트인지에 따라, 기간에 따라 달라짐

 


2-2) 포털에서의 Working Process의 변화

 

기존의 포털에서는 UX프로세스를 단계별로 하나씩 진행했음

사용자 분석을 통해 디자인, 개발, 검증하는 워터풀 모델 방식을 사용함

 

 

수정할 문제점을 빠르게 찾고 개선할 수 있음 이러한 주기를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기에 느려서

실행중심의 프로세스로 진화함. 스타트업에서 많이 사용함

서비스가 보다 가벼워지다보니 프로세스 역시 작은 그룹들이 기민하게 모여 협업할 수 있는 프로세스로 발전함

 

가장 중요한 핵심은 문서화를 줄이고 빠른 프로토타이핑으로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하는 것

 


2-3)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의 변화와 사례

 

빠르게 결과물을 받아보고 적용할 수 있음

완결성 있는 설계문서를 기다리지 않음

문서 작업 최소화 하기

 


2-4) UX  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의 변화

 

- User Researcher

사용자에 대해 조사하고 타켓으로 해야할 대상을 정함.

사용자에 대한 정량, 정성적인 방법론에 대해 사용자의 니즈를 잘 파악해야함

 

- Interaction & Product Designer

서비스를 구체화시키는데에 집중

직접 사용자 조사도 해야겠지만 발굴된 인사이트를 실제로 서비스에 어떻게 녹일 것인지 고민해야함

 

- Visual Designer

제품의 심미적인 부분을 만들어 내는 것, 서비스 레이아웃이나 타이포그라피, 아이콩 스타일 등 서비스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냄

점점 PC에서 모바일로 넘어가면서 다양한 인터렉션으로 구성됨

 

- Prototyper & Front End Developer

서비스의 구조와 플로우에 대한 이해와 간단히 UI를 입혀 실제 동작하는 앱으로 만들어서 의견을 전달하는 역할

모바일에서는 애니메이션, 트렌지션과 제스쳐가 점점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더 낫고 자연스러운 UX를 고민하는 것으로 흘러가고 있음. 때문에 프로토타이핑 툴을 이용해서 정확하게 의견을 전달해야함

 


2-5) Prototyping Design의 중요성 및 도구

 

1. 시간기반의 동선을 점검하기에 용이한 툴

프로젝트 초기에 서비스의 플로우를 그려보고 실제 서비스의 컨셉을 확인해보는 과정

 

장점

  • 프로젝트 초반의 컨셉을 명확하게 확인하기에 용이
  • 필요한 경우 빠른 테스트, 수행 가능함
  • 초반에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유용함
  • 프로토타입을 통한 구성원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데에 집중적으로 사용

 

단점

  • 리치한 인터랙션을 보여주기에는 한계가 있음
  • 툴 마다의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 수준의 한계가 있음

 

ex)

Paper Prototyping

POP

Figma

 


2. 상황 기반 인터랙션 디자인을 테스트하기에 용이한 툴

서비스의 특정 장면에 대한 리치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만들어보고 테스트하는 과정

 

장점

  • 상상 속 다양한 인터랙션을 직접 구현
  • 구현한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설득하기에 용이함
  • 실제 코딩시 명확한 데이터값을 전달할 수 있음
  • 빠르고 다양한 인터렉션 테스트가 가능함

 

단점

  • 전체 서비스의 플로우를 확인하기는 어려움
  • 초기 러닝커브가 높아 학습에 오랜 시간이 소요됨
  • 디테일한 인터랙션을 위해서는 코딩이 필요함

ex)

ProtoPie

Framer

 

 

프로토타이핑 특징

1.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디자인을 명확하게 전달함

2. 개발 중인 서비스의 테스트와 검증을 가능하게 함

3. 제대로 만들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 가능함

 

1. 상황에 맞는 올바른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2. 반복적으로 진행하고 수정하는 것이 중요함

3. 빠르게 만들고 또 버려질 수 있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