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Study Blog

제로베이스 UXUI 디자인 28기/UX 강의

[3주차 - Day4] UX2-4. 사용성 테스트

0dam 2024. 7. 18. 15:07

9. 사용성 테스트 알아보기

사용성 테스트: 사용자에게 특정 과업을 수행하도록 과제를 부여한 뒤 그 일을 진행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방법

  • 의도한 서비스 시나리오대로 유저가 행동하는지 아닌지 알 수 있음
  • 필수적인 컨트롤 요소를 인지/이해/예측/실행 하는지 알 수 있음

 

 

사용성 평가 =! 유저 테스트

 

사용자가 이런기능을 통해서 다음 단계를 진행할수 있는가? 없다면 문제점은 무엇인가?

고객이 우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조와 기능을 의도한 대로 알고 있는지, 이해했는지?

 

 

 

회사에서의 리서치 진행 프로세스

 

 

 

사용성 테스트의 일반적 과정

1. 참여자를 모집

2. 서비스를 사용해보도록 함

3. 진행자는 참여자가 길을 잃지 않도록 안내함

4. 참관자들은 고객의 행동을 관찰함

5. UT가 끝나면 도출된 이슈에 대해 브리핑

6. 문제점 개선

7. 반복

 

 

 

꼭 정석적인 사용성 테스트를 할 필요는 없음

- UT는 정성적 테스트이며, 무언가를 증명하는 것이 아님

- 애자일 테스트에서는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절차의 변경이 가능함

- 기본적으로 진행자는 참여자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도록 유도함

 

 

 

큰 규모의 프로젝트와 애자일 프로젝트에서의 사용성 테스트 비교

 

 

 

스티브 크록의 사용성 원칙 Top3

 

제 1법칙: 사용자를 고민에 빠뜨리지 마라

모든 페이지는 쉽고 분명해야한다

사용자는 작동방식까지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제2법칙: 고민없는 명쾌한 클릭이라면 클릭 속도는 중요하지 않다

고민없는 3번의 클릭이 심사숙고해야하는 한 번의 클릭보다 낫다

사용자는 최선의 선택을 하지 않는다. 최소 조건만 충족되면 만족한다

 

제 3법칙: 불필요한 단어는 삭제하라

쓸데없는 말을 줄이고 본론부터 얘기해라

사용자는 페이지를 읽지 않고 훑어본다

 

 

 


10. 사용성 테스트 수행하기1

 

 

사용성 테스트 문제 정의

  • 문제 정의는 사용성 테스트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
  • 무엇에 대해 테스트할지 누구에게 어떻게 질문할지 등 고려하는 단계

주의해야할 점

  • 데이터를 반복해서 수집
  • 깊은 분석 없이 일반적이고 피상적인 분석이나 단순한 설문 진행
  • 질문 작성 시 깊이 고민하지 X

더 명확한 문제 정의를 위해서는

  • 고객들을 만나서 인터뷰를 해보자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구조를 분해해보자
  • 구체적으로 어떤 데이터를 살펴봐야 할지 고민해보자
  • 실제 문제를 분석하기에 앞서 현 상황에서 고객의 상황을 시뮬레이션 해보자
  • 고객 행동에 대한 가설을 세워보자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데스크 리서치

  • 데스크 리서치는 서비스와 관련된 외부 상황(트렌드, 시장환경 변화)부터 서비스의 내부 상황(조직, 협업 구조, 서비스 시스템)까지 다방면으로 서비스가 놓여있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
  • 문제 정의 단계에서는 내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직접 연관된 사람을 만나봤다면, 데스크 리서치에서는 다른 사람이 리서치 한 것을 찾고 검토하는 것
  • 내가 개선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통계 분석/트렌드 분석/벤치마킹/사용성 평가/VOC분석 등>을 수행하는데, 회사에서 직접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면 <논문, 기사, 리포트 자료 등> 여러 방면으로 찾아보기

 

1.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누구인지 파악하기

2. 그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환경과 맥락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3. 서비스가 목표로 하는 것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최상의 리서치: 사용자 - 사용자 환경 - 서비스의 목표 : 3가지 관점이 겹치는 지점

 

 

 

리서치가 이 단계에서 해야할 일

  • 이해관계자에게 issue or task 목록 작성을 요청
  • 이슈 논의는 항상 함께 공유되어야 함
  • 주요한 이슈를 추리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함께 논의해보기
  • 이해관계자의 기분을 나쁘게 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자제
  • 논의 전에는 항상 어떤 내용에 대해 이야기 것인지 미리 주제를 전달해주기

-> 내가 개선하고자 하는 프로덕트를 직접 만들고 있는 사람을 찾기 어렵다면 내가 이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람이라고 가정해 이슈 목록을 작성해본 뒤 우선순위를 설정해보기

 

 

 

사용성 테스트 태스크 작성하기

- 각 화면, 세부 영역 별로 사용자가 할 수 있어야 하는 태스크를 작성해보기

- 문제 정의와 데스크 리서치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해결해야 할 문제에 집중하기

- 태스크 작성은 처음에는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우선순위 작업을 통해 먼저 확인할 내용을 정리하기

 

예시)

 

 

 


11. 사용성 테스트 수행하기2

 

 

리서치 대상자 선별

- 리서치 대상자를 아무나 해도 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 모든 사람을 위한 서비스라고 해도 내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집중된 사용자를 찾아야 한다

- 리서치 대상 그룹을 4가지 축으로 구분해 리서치 대상 선별의 우선순위를 살펴보기

 

여기서 대상 고객은 앞서 문제 정의/데스크 리서치/이해관계자 인터뷰 등의 과정에서 발견한 정보를 기반으로 선정해야함

 

 

 

사용성 테스트 진행하기

  • 원격으로 진행할 경우 모니터 화면을 녹화하는 프로그램을 미리설치
  • 대면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참여자의 반응을 자세히 살피기 위해 녹화 장비 등을 미리 준비
  • 작성된 Task 바탕으로 테스트를 수행하고 별도의 인터뷰를 섞어 진행할 있다

 

 

진행자로서 자주하는 실수

- 디자인을 설명하지 않기

- 말은 너무 많이하지 않기

- 참여자의 질문에 답변하지 않기

- 자꾸 인터뷰를 하려고 하지 말고 사용성 테스트를 할 것

- 대답을 유도하거나 선호도를 묻지 않기

 

 

 

결과 정리 및 리뷰

  • 애자일한 사용성 테스트에서는, 각 세션이 끝난 후 발견한 이슈에 대해 짧게 요약을 한다
  • 모든 세션이 끝난 후에는 사용성 테스트에 참관한 사람들에게 브리핑을 한다
  • 빠르게 다음 사용성 테스트를 준비 할 것인지 아니면 깊은 분석을 할 것인지 의사결정을 진행
  • 위 과정이 끝난 이후에는 결과를 분석하여 이후 Action Item을 도출
  • 별도의 리뷰 세션을 통해 결과를 리뷰하고 다음 스텝으로 향하자

 

 

리서치 이후에 해야 할 것들

  • 다음 리서치 스텝 고려
  • 리서치 결과 아카이브
  • 참여자 리워드 제공
  • 리서치 녹화 및 녹음자료 등 적재
  • 유관 부서 이외에도 리서치 결과 공유
  • 리서치 진행내용 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