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면세점
설레는 여행의 시작을 신세계면세점과 함께!
신세계로 Check in
화면 구성 분석
1. 스플래시 화면
신세계면세점 로고와 홍보 이미지가 뜬다
로고와 이미지가 오래 뜨는 것은 아니라서 메인 화면이 뜨기를 기다린다는 느낌은 들지 않아서 좋았다.
2. 홈화면
결제 혜택이나 이벤트 팝업이 가장 먼저 뜨고 그 다음 홈 화면 메인에는 면세점에서 주력하는 이벤트와 상품이 뜬다.
그 아래에 상품 카테고리와 혜택, 이벤트, 안내 등의 메뉴가 있다.
메뉴 아래로는 상품들이 뜨는데 타임세일 중인 브랜드나 특가상품을 먼저 보여주고 그 뒤에 신세계면세점에서만 구매 가능한 상품들, 이용자 맞춤 추천 상품들을 보여준다 그 다음에 인기 많은 상품들을 보여준다.
상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여행 시작부터 면세점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특가 세일이나 세일중인 브랜드를 보여주는것이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했다.
보통 커머스 앱의 경우에는 쿠폰이나 할인 정보를 홍보하는 팝업이나 배너를 배치하긴 하지만 맞춤 추천 상품이나 인기순 상위에 있는 상품들을 먼저 보여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단 메뉴에서도 보통 다른 커머스 앱과 다르게 세일, 혜택 메뉴를 가장 앞에 배치한 것 같다.
3. 카테고리
하단의 카테고리 메뉴를 누르면 특이하게 카테고리 페이지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온다.
하단에 있는 X 버튼을 누르면 사라지는 방식이다.
카테고리는 상품의 종류로 나누어져있고 테마나 브랜드 스토어로도 검색이 가능하다.
아쉬운 점은 브랜드나 상품명, 테마 등을 통합해 검색할 수 있는 서치바가 상단에 배치되어있으면 좋을 것 같다.
만약 사용자가 명확하게 찾고있는 상품이 있다면 카테고리를 타고 들어가 상품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카테고리 페이지를 개별적으로 만들어서 홈화면 위에 띄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X버튼을 눌러 홈화면으로 돌아간 후 홈화면 상단에 있는 검색 버튼을 눌러야한다. 슬라이드나 하단 메뉴 클릭으로 홈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 방식이 불편할 것 같다.
4. 하단 메뉴 중앙 메뉴
중앙에 있는 메뉴를 누르면 아래에서 위로 화면이 뜨는데 신세게면세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와 오프라인 지점에 대한 안내가 있다. 그 아래에는 비회원 주문이 있는데 바로 옆에 마이페이지 메뉴가 있고, 상담톡 메뉴도 있는데 굳이 가장 중요한 가운데에 이런 메뉴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기능이 겹치기 때문에 차라리 공항에서 빠르게 면세점을 이용하는데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들을 넣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예를 들면 마이페이지 하단에 있는 인도장 대기표 기능을 넣어서 공항 근처 또는 공항에 위치한 승객에게 나의 번호와 현재 순서를 보여준다거나, 즐겨찾기 해둔 브랜드의 쿠폰이나 할인 정보, 공항 내 매장위치 또는 인도장 길 안내 (위치찾기) 서비스를 추가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6. 마이페이지
사용자가 이전에 로그인한 적 있는 경우 예전에 로그인했던 sns를 알려주는 팝업이 떠서 빠르게 로그인할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마이페이지에는 보유 쿠폰과 적립금, 주문내역, 출국정보 등을 등록해둘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아니고 추가하면 좋을 것 같은 기능으로는 myPick 기능과 함께 쇼핑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미리 온라인으로 결제해 공항에서는 픽업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장에서 보고 구매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찜해두는 것과 꼭 사가려는 상품을 구분해서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면 구매율도 올리고 사용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상품이 공항 내 매장에 재고가 몇개 존재하는지 또는 몇개 없다면 품절임박이라는 정보를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7. 상담톡
상품, 브랜드 소개와 이벤트나 혜택에 대한 설명을 받을 수 있고 사용자들이 주로 자주하는 질문이나 요구사항들인 정보나 주문 변경, 취소 등을 먼저 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8. 상단메뉴 - 세일
가장 먼저 사용자가 찜해둔 상품 중에 세일 중인 상품들을 보여준다.
그 아래에는 타임세일 중인 브랜드와 세일 상품들을 보여주는데 이 때 카테고리를 배치해서 원하는 상품의 종류만 볼 수 있는 것이 좋았다.
9. 상단메뉴 - 혜택
결제에 대한 혜택이나 브랜드 별 이벤트, 지점 별 이벤트 등 다양한 혜택을 모아볼 수 있다.
혜택 또한 카테고리 메뉴를 통해 찾고자하는 혜택만을 찾아볼 수 있어서 좋다.
10. 상단메뉴 - 랭킹
카테고리 별 랭킹과 브랜드 별 랭킹을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 때 카테고리 랭킹 내에서는 전체 순위를 보여주고 브랜드 별 랭킹에서는 시계와 주얼리 카테고리 상품을 먼저 보여준다. 면세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카테고리들을 먼저 보여주는 점이 좋았다.
11. 상단메뉴 - 주류, 럭셔리, 패션
면세점에서 많이 구매하는 주류, 럭셔리, 패션, 뷰티 상품들을 상단 메뉴에 배치해뒀다.
주류의 경우에는 브랜드의 스토리 설명해두었다.
12. 상단메뉴 - 뷰티
뷰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 두피 타입과 피부 및 두피의 고민, 선호하는 화장품의 제형이나 용기형태 등을 물어본다. 그 결과를 참고해서 사용자 맞춤형 뷰티제품 추천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이 좋았다.
사용자 분석
신세계면세점의 주요 사용자는 직장인, 자녀의 연령이 초등학생 이하인 부모, 기혼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점
1. 카테고리 페이지 수정
카테고리 메뉴 버튼을 누르면 카테고리 페이지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나오고 이 페이지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하단 중앙에 있는 X 버튼을 눌러야한다. 이런 방식보다는 홈화면 (메인) 페이지 우측에 카테고리 메뉴가 있으니 사용자가 인식하기에 메인 페이지 오른쪽에 카테고리 페이지가 이어져있다는 생각이 들도록 좌우 드래그를 통해 카테고리와 홈화면을 비롯한 다른 하단 메뉴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2. 카테고리 페이지에 서치바 추가
카테고리 페이지 상단에 브랜드나 상품명, 테마 등을 통합해 검색할 수 있는 서치바가 배치되어있으면 좋을 것 같다.
만약 사용자가 명확하게 찾고있는 상품이 있다면 카테고리를 타고 들어가 상품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카테고리 페이지를 개별적으로 만들어서 홈화면 위에 띄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X버튼을 눌러 홈화면으로 돌아간 후 홈화면 상단에 있는 검색 버튼을 눌러야한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카테고리 페이지에도 서치바를 넣는 것이 좋을 것 같다.
3. 하단 메뉴 바 중앙 메뉴 수정
중앙에 있는 메뉴를 누르면 아래에서 위로 화면이 뜨는데 신세게면세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와 오프라인 지점에 대한 안내가 있다. 그 아래에는 비회원 주문이 있는데 바로 옆에 마이페이지 메뉴가 있고, 상담톡 메뉴도 있어서 기능이 겹치기 때문에 차라리 공항에서 빠르게 면세점을 이용하는데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들을 넣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레퍼런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주차] 레퍼런스 분석 - #06 배달의 민족 (0) | 2024.08.10 |
---|---|
[5주차] 레퍼런스 분석 - #05 리딩트리 (0) | 2024.08.03 |
[3주차] 레퍼런스 분석 - #03 29CM (0) | 2024.07.19 |
[2주차] 레퍼런스 분석 - #02 에이블리 (0) | 2024.07.13 |
[1주차] 레퍼런스 분석 - #01 하우머치 (0)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