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CM
Guide to better choice
"감도 깊은 취향 셀렉트샵 29CM
누구나 자기다운 취향에 닿을 수 있는 거리
29CM 안에서 당신의 취향을 완성하는 영감과 힌트를 만나보세요."
무신사가 운영하는 셀렉트샵 29CM
화면 구성 분석
1. 스플래시 화면
2. 첫 화면 (홈화면)
2-1) 바캉스위크 (시즌)
처음 들어오자마자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와 쿠폰 정보를 보여준다.
여름 시즌에 맞춘 바캉스 테마의 상품들과 이를 구매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쿠폰 정보와
그 아래로는 당일 사용할 수 있는 하의 쿠폰을 보여주어 사용자가 느끼는 가격적인 부담을 줄여준다.
홈 안에 또 세부적인 메뉴들이 있다.
2-2) 우먼
29CM는 단순 의류구매 플랫폼이 아닌 셀렉트샵 컨셉이기 때문에 우먼 카테고리 안에서 인기있는 상품과 브랜드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트렌드와 시즌에 맞는 상품 컬렉션을 자체적으로 준비해 매력적인 문구와 함께 보여준다.
2-3) 그외 카테고리
그 외의 홈, 라이프, 맨 카테고리에서도 가장 먼저 사용자의 눈길을 끌 컨텐츠를 가장 먼저 보여준다.
2-4) 베스트
상단에서 설정한 카테고리에서 베스트 상품들을 모아볼 수 있다.
3. 카테고리
29CM는 여성 의류와 남성 의류 모두 다루기 때문에 각 카테고리마다 상단에 우먼과 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카테고리로 찾기 어려운 경우를 위해 카테고리지 페이지이지만 상단에 검색바를 넣었다.
4. 서치
검색 페이지에 들어가면 검색바를 누르지 않아도 바로 키보드가 뜨고
키보드를 내리면 각 상품 카테고리마다 다른 사용자가 어떤 브랜드와 상품을 많이 검색하는지 검색어 순위를 보여준다.
5. like (관심상품)
로그인이 안 되어 있는데 관심 상품 창에 들어가면 로그인 창이 나온다. 이 때 오랜만에 방문한 사용자라면 자신이 어떤 방법으로 회원가입했는지 기억이 안 날 수 있는데, 최근 로그인했던 방법을 기억해 보여주기 때문에 이 앱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도 금방 로그인할 수 있다.
앱에 접속하자마자 바로 로그인부터 하면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는 이 앱에서 제공하는 상품이 어떤 상품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먼저 개인 정보부터 제공해야하는데, 로그인 없이 먼저 상품들을 구경하고 구매의사가 생겼을 때 회원가입을 해도 된다는 점이 좋았다.
사용자가 찜해놓은 상품들과 브랜드를 볼 수 있다.
만약 찜해놓은 상품이 없다면 사용자가 관심있어할만한 브랜드와 다른 사용자들에게 인기많은 상품을 보여준다.
6. MY (마이페이지)
사용자의 등급과 마일리지, 쿠폰 정보와 개인정보 수정 등의 기능이 있고
사용자의 체형을 입력하면 비슷한 체형의 다른 유저들이 작성한 후기들만 볼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 분석
- 29CM는 주 이용 고객인 2539세대 여성의 취향을 정밀하게 분석해 다양한 감도와 무드의 여성 패션 브랜드의 입점을 선별적으로 진행한 것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 홈 카테고리의 상반기 거래액도 전년 대비 2.5배 급성장했다. 프리미엄 가구부터 조명·침구류·테이블웨어 등 오리지널 디자인을 보유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새로 발굴해 매력적인 콘텐츠와 함께 선보인 점이 주효했다. 29CM가 엄선한 홈 브랜드가 감각적인 디자인과 브랜딩을 선호하며 취향이 뚜렷한 고객들의 니즈와 맞아떨어졌다는 분석이다.
참고: 세계일보, <29CM, 상반기 거래액 56% 성장…“연내 거래액 1조 돌파할 것”>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708504794)
개선점
1. 많은 메뉴와 정보
전체적으로 한 화면에 너무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것 같다. 많은 메뉴와, 많은 아티클 때문에 번잡해보인다. 많은 정보 때문에 한 화면에서 스크롤을 계속 내리게 되므로 아래로 몇개의 셀렉트 상품이 얼마나 더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스크롤바나, 스크롤 시에만 뜨는 작은 팝업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2. 베스트 화면에서 보여지는 베스트 상품
홈 > 베스트에 있는 베스트 화면에서는 가장 먼저 들어가면 여성 의류의 베스트 상품을 보여준다.
하지만 베스트 상품은 각 카테고리나 메뉴를 타고 들어가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홈>베스트 화면에서는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를 막론하고 가장 인기많은 상품 베스트를 보여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따로 상단에 있는 카테고리 설정으로 볼 수 있도록 수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레퍼런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주차] 레퍼런스 분석 - #06 배달의 민족 (0) | 2024.08.10 |
---|---|
[5주차] 레퍼런스 분석 - #05 리딩트리 (0) | 2024.08.03 |
[4주차] 레퍼런스 분석 - #04 신세계면세점 (0) | 2024.07.28 |
[2주차] 레퍼런스 분석 - #02 에이블리 (0) | 2024.07.13 |
[1주차] 레퍼런스 분석 - #01 하우머치 (0)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