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Study Blog

레퍼런스 분석

[2주차] 레퍼런스 분석 - #02 에이블리

0dam 2024. 7. 13. 13:51

 

 

 

 

에이블리

" 패션, 뷰티, 라이프까지

내 취향의 모든 것을 담은 1등 스타일 쇼핑앱, 에이블리(ABLY)

에이블리만의 차별화된 추천 서비스로 내 스타일의 상품만 쏙쏙 골라 구경하세요. "

 

특정 고객층을 겨냥하는 것에서 종합 패션 플랫폼으로 방향성을 틀어 물류와 고객 응대, 제작까지 담당하는 구조의 플랫폼

 

 

 

 


 

  화면 구성 분석  

1. 스플래시 화면

 

 


 

2. 첫 화면 (홈화면)

 

이벤트 내용 배너와 판매상품 카테고리와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들이 나온다.

그 아래로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추천 상품들이 나온다.

 


 

3. 카테고리

 

 

에이블리에서 판매하는 모든 상품을 볼 수 있는 페이지다. 에이블리에서 판매하는 의류뿐만 아니라 뷰티, 생활용품들까지 카테고리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옷의 종류가 많은 만큼 카테고리도 세분화를 해두었다.

상의 > 블라우스 카테고리에 들어가자 현재 에이블리에서 판매 중인 블라우스들이 나오는데 그중에서 상단에는 블라우스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옷들 10개를 보여주고 아래로는 사용자가 마음에 들어 할 만한 블라우스를 추천해 준다.

 


 

4. 상품

4-1. 상품정보

 

상품의 대표 이미지와 쇼핑몰 이름과 쇼핑몰의 주력 스타일이 나오게 된다. 관심 있는 쇼핑몰의 경우에는 관심 마켓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래에는 가격과 함께 사용자가 보유한 쿠폰과 포인트로 구매가능한 최저 가격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품의 상세설명이 나오는데 여기서 쇼핑몰에서 업로드한 상품의 이미지와 설명, 원단, 세탁방법, 실측 사이즈등을 알 수 있다.

 

아쉬운 점으로는 쇼핑몰마다 상세 페이지 중 실측사이즈와 소재, 세탁방법 등을 기재해 둔 위치가 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매번 실측사이즈가 어디에 있는지, 세탁 시 유의사항은 어떻게 되는지 등 정보를 얻기 위해서 긴 상세페이지에서 정보를 찾아야 한다. 따라서 ai로 텍스트 인식이나 쇼핑몰에서 직접 태깅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덱스로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기술을 제공했으면 좋겠다.

 

 

4-2) 리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후기를 작성하는 페이지로 별점이 아닌 만족과 불만족으로 상품 후기를 남긴다.

하지만 상품에 대한 만족도가 늘 만족과 불만족으로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점이나, 만족/보통/불만족 등의 방법으로 선택지가 더 늘어나야 할 것 같다. 

 

 

 

4-3) 사이즈

상단에 있는 '사이즈' 목록에 실측 사이즈를 기재해두지 않은 쇼핑몰이 많기 때문에 상품 정보에서 사이즈 정보가 적힌 위치를 알려주는 방식 대신에 필수적으로 사이즈 목록에 실측 사이즈를 기재해 두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5. 찜

5-1. 상품

최근에 본 상품과 상품들을 보며 마음에 드는 상품들을 담아둔 내용을 볼 수 있다. 상품에 따라 폴더를 만들어 따로 찜을 해둘 수도 있고 내가 과거에 봤던 상품들을 다시 볼 수 있어서 혹시라도 마음에 들었는데 앱이 종료되거나 찜을 못해둔 상황에서 다시 과거 기록을 통해 상품을 찾을 수 있어 편리하다.

 

 

5-2. 마켓

자주 구경하는 스토어의 경우 마켓 자체를 찜해둘 수 있다. 찜해둔 마켓의 상품들이 추천 상품으로 자주 노출되고 찜해둔 마켓의 상품들만 따로 모아서 볼 수 있다.

 


 

 

6. 마이페이지

 

맨 위에서 내가 보유한 포인트와 쿠폰을 알 수 있고, 주문 내역에서 내가 주문한 상품의 배송 현황을 볼 수 있다.

내가 구매했던 상품 중에 배송이 완료가 되면 리뷰를 작성하도록 상품이 뜨게 되고 문의 내용, 내가 이전에 작성한 리뷰를 볼 수 있다.

 


 

  사용자 분석  

 

 

- 지난해 12월 기준 사용자 연령대 비율은 20대가 30.5%로 가장 높았고 40대 이상 20.9%, 10·30대 20.4% 순이었다.

- 특히 재고 관리, 물류비 등 운영 부담이 적은 만큼 MZ 창업자들이 늘어났다. 20대 중반(23세~26세)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해 8월까지 창업한 셀러 중 10대는 전년 동기 대비 113%, 30대는 155% 증가했다. 

 

에이블리는 MZ세대가 특히 열광하는 플랫폼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유독 MZ 세대에서만 에이블리가 두각을 보인다고 생각하시는 경우도 많지만 실제로는 10대에서 40대 이상까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 수를 보이고 있다.

 

 

참고: 연합뉴스 - 에이블리 "작년 패션 플랫폼 앱 사용자 수 1위…20대가 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4026600030)

에이블리포트 MZ세대 1위? 전 연령대 1위! 넓은 고객층이 기다리는 에이블리 (https://square.a-bly.com/report-14)

 

 

전 연령대의 넓은 고객층, 쉬운 입점 관리로 젊은 세대의 MZ 판매자

 

 

 


  개선점  

 

1. 상품 정보 상세 페이지 인덱스

쇼핑몰마다 상세 페이지 중 실측사이즈와 소재, 세탁방법 등을 기재해 둔 위치가 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매번 실측사이즈가 어디에 있는지, 세탁 시 유의사항은 어떻게 되는지 등 정보를 얻기 위해서 긴 상세페이지에서 정보를 찾아야 한다. 따라서 ai로 텍스트 인식이나 쇼핑몰에서 직접 태깅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덱스로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기술을 제공하면 좋을 것 같다.

 

2. 실측 사이즈 필수 기재

'사이즈' 목록에 실측 사이즈를 기재해두지 않은 쇼핑몰이 많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사이즈 목록에 실측 사이즈를 기재하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

 

3. 리뷰 작성 방법 개선

상품에 대한 만족도가 늘 만족과 불만족으로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점이나, 만족/보통/불만족 등의 방법으로 선택지가 더 늘어나야 할 것 같다.